미담플러스 박상희 기자

화성특례시는 등록된 언론사에 주간행사계획을 언론사 이메일로 매주 금요일 저녁마다 배포한다. 6월까지는 ‘비고’란에 주요 참석자(시장, 부시장 등) 여부를 알렸고, 따로 언론취재 가능 여부를 표시하지는 않았다. 6월 30일부터 화성특례시에서 언론사에 배포되는 주간행사계획은 ‘언론취재 가능 여부’가 표시되어 배포됐다. 7월 1달간 70개의 행사 중 2개 부분 공개, 25개 비공개로 총 36%의 행사가 비공개됐다. 8월도 통계를 작성하여 공개한다. 8월은 64개의 주간 행사 계획 중 절반에 가까운 47% 가 비공개 행사로 분류됐다. 가장 높은 주는 4주차로 14개의 행사 중 4개만 공개되어, 무려 71%가 비공개 행사로 분류됐다.
7월에 이어 8월도 비공개 행사 비율이 늘어난 수치는 화성특례시가 시민의 알 권리를 적극적으로 보장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기게 한다. 화성특례시는 특례시 승격이 되고, 이재명 정부가 시작됐음에도 실제로는 언론에 계획이 공개된 전체 행사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언론 취재 불가능'으로 분류하고 있다. 비공개 행사로 분류된 행사를 보면 착수보고회, 중간보고회, 등을 포함한 각종 보고회, 심의위원회, 실무 추진단 회의 등이 포함되어 있다.
"행사를 하기는 하나 언론 취재는 불가능하다"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