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맑음동두천 14.3℃
  • 흐림강릉 10.8℃
  • 맑음서울 15.7℃
  • 대전 17.0℃
  • 구름많음대구 16.7℃
  • 흐림울산 15.6℃
  • 흐림광주 17.9℃
  • 흐림부산 16.2℃
  • 맑음고창 13.5℃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14.8℃
  • 구름많음보은 16.3℃
  • 흐림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6.2℃
  • 흐림거제 16.2℃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수원군공항 문제와 경기국제공항 추진, 생명평화의 관점에서 검토 되어야

오피니언 화성여성회 한미경 대표

수원군공항 이전 및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건설 특별법안(이하 특별법)' 이 김진표 국회의장에 의해 발의되면서 또 다시 화성과 수원 주민들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12월 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의 심사를 앞두고 있어 그 결과도 귀추가 주목된다. 수원군공항은 주민들에게 소음피해와 함께 인근지역의 개발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인식됐다. 군 공항을 타 지역으로 이동하겠다는 공약은 선거 때가 되면 출몰했고 주민들의 바람도 점점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문제를 풀다 보니 수원군공항이전은 합리적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가 급기야 경기국제공항이라는 무리수를 두면서 군 공항 끼워 팔기에 나서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터무니없는 의제는 수명을 다한 수원군공항에 대한 존치의 필요성부터 고민되어야 했다. 우리 지역에 불편한 것이니 인근지역에 이전을 요구하기에 앞서 정말 제 기능을 하고 있는지부터 살펴보았더라면, 보다 평화적으로 문제를 풀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김진표 의원이 수원군공항 화성 이전을 들고나왔을 때 수원과 화성, 경기지역의 시민사회단체들을 수원군공항의 폐쇄를 고민하며, 이전이 아닌 폐쇄를 요구해 왔다. 이번 특별법으로 몰아붙이고 있는 국제공항 또한 화성호 및 화성 습지 등 생태계 훼손, 탄소중립과 기후 위기 역행하는 공항 건설 사업이 정말 타당하냐는 문제 제기가 지속되고 있다. 

 

경기국제공항 건설의 환경파괴, 지역주민의 갈등과 피해, 경제적 타당성 부족 등 공론화되지 못한 채 강행하는 것은 민주적 절차에도 맞지 않는다. 결코 평화로운 결과를 낼 수 없을 것이다.  첫 단추를 잘 못 끼운 ‘수원군공항 이전’이라는 의제는 전면 재검토 돼야 한다. 경기국제공항의 타당성이 지역주민을 제대로 설득하지 못한다면 이 또한 전면 재검토 돼야 한다. 

 

정치적 공방에 앞서 필자는 독자들에게 질문하고 싶다. 

 

1년에 몇 번의 항공기 여행을 위해, 교통 시간 30분에서 1시간의 단축을 위해, 그 불편함을 해소하려고, 미래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하는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눈앞에 둔 곳을 꼭 훼손해야겠는가?  국방예산을 전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이 지출하고 있는 한반도의 군사력에 수명을 다한 군공항 폐쇄가 군사적 위협이 되겠는가? 마지막으로 나의 고통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다른 지역의 주민에게 같은 고통을 전가하는 것이 과연 정의로운 것인가?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