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담플러스 박상희 기자 |
나를 변화시키는 스위치 서평 - 책소개 “나를 변화시키는 스위치”는 개인적인 변화나 성장을 나타내는 개념이며 자신의 삶을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며, 태도를 취하는 지에 대한 나를 향한 물음입니다.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주변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부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려는 의지를 가지세요. 새로운 기술, 지식, 경험을 통해 스스로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세요. 목표를 가지고 일하는 것은 변화를 이루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자신을 동기부여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와 열정을 부여하는 방법을 찾으세요. 왜 변화가 필요한지, 어떻게 당신의 삶을 더 나아지게 만들 수 있는지에 집중하세요.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을 통해 건강을 관리하고,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익히세요. 몸과 마음의 건강은 개인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세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은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우선순위를
미담플러스 박상희 기자 |
김현중 프로필 홍익대학교 일반 대학원 판화과 추계 예술대학교 서양화과 현 한국 미술협회 화성지부 수석 부 지부장 한국 예술문화단체 총 연합회 화성지부 감사 달중아트 스튜디오 대표 개인전 2023 제11회 인사아트센타(인사동) 2022 제10회 인사아트센타(인사동) 2016 제9회 서초 예술의전당 한가람 2014 제8회 서화 갤러리 2013 제7회 서화 갤러리 2012 제6회 평택 문화 공간 2010 제5회 청원군립 대청호 미술관 2009 제4회 인사아트센터 3층(인사동) 1999 제3회 경인 미술관 1985 제2회 평택문화원 1982 제1회 평택문화원 아트페어 2023 서울 조형아트(코엑스) 2023 런던 어포터블 아트페어(배터시) 2017 마니프 (서초 예술의전당 한가람) 수상 2016 35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 외4회 수상(천안 예술의 전당) 2009 28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외5회 수상(서울 시립 미술관) 1990 1 회 미술세계 2회(경인 미술관) 1985 1 회 한국 파스텔 전 (시립 미술관) 단체전 2023 GIAF 세종문화회관1층 세종미술관 2021-2023 한국미술협회 화성지부 2020 한국미술협회 국회 초대전 (국회의
화성시의 정체성을 이야기 한다면 우선 생각나는 것이 ‘충’과 ‘효’라고 할 수 있다. 좀 더 가미한다면 ‘예’가 있다. 모두 근현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태생된 것이다. 지역 정신으로만 머물지 않고 국가 정신의 기반을 조성했다는 것은 자타가 인정하는 바이다. ‘제암리 3.1만세운동’, ‘정조와 현륭원’, ‘용주사의 부모은중경’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우리가 아직까지 관심을 갖지 않고 있었던 정신문화의 산실인 원효의 깨우침의 장소가 화성에 있었다는 사실이 4회의 학술발표를 통하여 확인되어 그동안 '오도처가 어디인가?' 에 대한 논란이 마무리 되었다. 오도처가 화성시 마도면 백곡리 백제대형무덤이라는 사실은 우선은 지정학적으로 당성이 삼국시대 무역항으로 중국 당나라로 가기 위해서는 육로로도 갈 수는 있으나 한강 이북은 고구려가 지배하고 있는 지역으로 갈 수가 없고 결국 화성의 당성으로 올 수 밖에 없었다. 그당시 당성은 중국 당나라로 가는 최단거리로 당성에서 출발하여 덕적도를 거쳐 중국의 산동반도로 가는 길목이다. 기록으로 남아 있는 사료를 보면 원효성사와 의상대사는 650년에 당나라로 유학을 가기 위해 육로를 택해 고구려 지역을 지나가다가 간첩으로 몰려
미담플러스 박상희 기자 |
예술과 함께 하는 걷기 축제 <매향리 아트런> 행사가 올해도 어김없이 열렸다. "살아가는 동안 더 좋은 것은 없을거야 10월의 어느 멋진날에!" 젊은 성악가의 아름다운 목소리가 매향리 앞바다에 울려퍼졌다. 10월 28일 오전 10시, 행사 시작 전부터 매향리 농섬 바닷가에는 가족들의 손을 잡은 시민들로 가득했다. <매향리 아트런>과 '길위의 축제 청춘마이크' 행사는 사단법인 화성민예총, 문화를 만드는 곳 열터에서 주최 주관하며, 화성시가 후원했다. 김정오 화성민예총 대표는 "바닷물이 빠진 매향리 농섬길은 정말 한두마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매력을 듬뿍 안고 있다"며 "54년에 걸친 폭격의 고통, 새로 피어나는 평화, 그리고 가을날 대자연의 정취까지 조금은 욕심을 부려 시민들과 나눠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청춘마이크>의 젊은 예술가들 19팀이 출연하여 농섬으로 이어지는 길목마다 풍성한 거리공연을 선보였다. 성악·판소리·마술·밴드·아카펠라·전통연희·관현악·비보잉 등 평소 가까이 접하기 어려운 수준 높은 공연에 시민들은 흠뻑 빠져들었다. 인근 주민들과 함께 참석한 홍성규 화성노동인권센터 소장은 "오늘 날씨만 해도 이렇게 화
박상희 기자
<개인전> 2018 <LIGHTHOUSE> 스페이스아트와, 서울 2013 <The Memory> 고도 갤러리, 서울 2012 <투명한 공간> 전 Boutique Monaco Museum, 서울 2011 <투명한 공간의 기억하다> 갤러리 아리오소, 울산 2010 <이야기가 있는 드로잉> 갤러리 두루, 서울 2010 <The Memory> 서울문화재단 Nret 선정전시, 고도 갤러리, 서울 2006 <공존>, 베아트센터, 평택 2004 <Memory – Negative Coexitece> Caixa Terrassa Barcelona 스페인 2002 <Memory – Negative Coexitece >서경갤러리, 서울 <주요 초대 단체전, 비엔날레, 심포지엄, 프로젝트, 아트페어> 2023 생물다양성 전 , 생태문화관 더플레닛, 제주, 한국 2022 소퓸소풍전, 팔달갤러리, 수원, 한국 흙,인 전, 갤러리 쏘마, 서울, 한국 2021 존재의 지형도: 관계의 얽힘들,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DMZ문화예술삼매경 –고성 Re:maket ART H
화성시(시장 정명근)가 10월 19일 화성 함백산추모공원에서 화성시 문화예술체육인 특화묘역 추모제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는 함백산추모공원 내 문화예술체육인 특화묘역 안장자 중 국가와 지역사회를 위해 헌신한 문화, 예술, 체육 분야의 인물들을 추모 및 기념하고자 마련됐다. 안치자 유족과 관련 단체장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인 사진전, 유족들의 편지 낭송과 고인 추모 영상 상영, 추모 메시지 작성, 추모 공연 등이 진행됐다. 홍노미 시민복지국장은 “국민에게 꿈과 감동을 준 문화예술체육인들의 노력과 발자취를 기억하고 이어나가기 위해 화성시도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화성시 문화예술체육인 특화묘역은 면적 1,245㎡으로, 문화 분야 20기, 예술 분야 23기, 체육 분야 23기 총 66기로 조성돼 있으며,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기능 보유자인 故이동안님과 제23회 LA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인 故김원기님이 안장돼 있다. 박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