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20일 화성시 팔탄면 구장리 지역의 구전 향토 민요인 화성팔탄민요 ‘구장터 면생이’가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65호에 지정됐다. 팔탄면향토민요보존회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유 단체가 됐다. 화성팔탄민요는 모내는 소리, 논매는 소리, 논 훔치는 소리, 면생이 소리, 긴 방아 소리, 상사소리, 먼들소리, 지경다지는 소리 등 9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팔탄면 향토민요보존회는 구전되어 오는 통속 민요 중 농사요 9곡, 집터를 다질 때 부르던 지경다지기 소리가 화성시 유일의 경기도 무형문화재가 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미 한번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전수자가 없어 해체되는 아픔을 겪었던 팔탄 상부소리(상여소리, 회다지기소리) 를 복원하여 2021년 경기도 민속예술제에서 전통성을 인정 받아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 된 지 1년 반이 지난 11월 16일 오후 팔탄면 향토민요보존회 안희만 운영위원장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현재 화성시는 2022년 3월 송선영 의원이 대표 발의한 ‘화성시 무형문화재 보존 및 진흥에 관한 조례’가 지정된 상태이다. "무형문화재가 잘 보존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라는 기자의 질문에 안 위원장은 "보존회에
박상희 기자
박상희 기자
일반인들은 대체로 아홉수가 안 좋다고 생각한다. 29살, 39살, 49살……. 나이를 지나며 나쁜 일이 있었던 기억은 없는데 어쩐지 ‘9’는 좋은 숫자로 느껴지지 않는다. 음악에서 교향곡은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규모가 큰 곡이며,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루드비히 반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은 ‘나인 심포니’로 통하며 CD도 길이 74분을 맞춘 마지막 교향곡이므로, 베토벤은 곡의 완성 후 몇 년 뒤 죽음에 도달했다. 근대를 대표하는 오스트리아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는 천재적인 음악가다. 말러의 작품은 수준 높은 오케스트라만 연주할 수 있는 어려운 곡들이 대부분인 클래식 음악의 진수이다. 하지만 그는 미신을 믿었고 염세주의적인 사상을 가졌다. 화려하고 사교적인 여인 ‘알마 쉰들러’와 결혼 후 아이가 생기기도 전에 작곡했던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는 정말 아이를 잃은 사람의 작품처럼 슬프며 비극적인 미래를 예측했는데, 몇 년 후 말러의 큰 딸이 태어나서 갑자기 병으로 죽었다. 바람기가 넘치는 아내와의 갈등까지 겹쳐서 심리적으로 불우한 처지에 빠져 있는 말러에게 9번째 교향곡의 완성은 그를 깊은 근심에 잠기게 하였다. 그의 스승 ‘안톤 브루크너’는 베토벤의
11월 26일 일요일 오후 1시부터 문화더함공간서로와 화성태국공동체가 ‘제3회 러이끄라통’ 축제를 열었다. 태국 '러이끄라통' 축제는 '송끄란' 축제와 함께 태국의 가장 큰 축제 중 하나다. 꽃으로 장식한 바나나 잎에 초, 향, 동전 등을 실은 끄라통을 강에 띄워 보내며 소원을 비는 축제이다. 이날 화성시 이외의 다양한 지역에서 결혼으로 이주해 온 태국 다문화가족들이 참석했고, 100여명의 선,이주민이 함께 참여하여 전통 춤, 끄라통 만들어 띄우기, 전통음식 등의 태국 문화를 체험하며 향유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또한 서로봉사단 네팔, 베트남주민들도 적극 지원하면서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활동을 준비했다. 화성시 여성다문화과 외국인주민지원 박현주팀장은 “ 앞으로도 화성시 외국인주민들의 국가 문화 활동을 위한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주한태국대사관 니티팟 왓타나쑤와꾼 참사관은 러이끄라통 축제를 '가족들과 만나서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축제'라고 설명했다. "2023년 나쁜일들은 끄라통과 함께 띄워보내길 바란다" 라고 말했다. 행사를 함께 주최한 다올공동체센터 오현정 대표이사는 “오늘 하루 고향을 느끼며 즐기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피력했다
박상희 기자
화성시(시장 정명근)가 오는 11월 29일 화성시 무장애 관광 활성화를 위한 ‘시티투어 모두여행&북토크 콘서트’를 운영한다. 무장애 관광이란 장애인, 어르신, 임산부, 영유아 동반 관광객 등 관광취약계층의 이동의 불편과 활동의 제약이 없는 관광을 말한다. 시티투어 모두여행에서는 리프트 버스를 이용해 송산면 소재 체험농장을 방문해 특화 프로그램을 체험하고, 화성시가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장애인 등 관광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매월 운영해 온 ‘모두여행’ 프로그램의 성과를 공유한다. 또한, 북토크 콘서트에는 ‘아름다운 우리나라 무장애 여행지 39’를 출간한 전윤선 작가가 참여해, 휠체어를 타고 직접 방문한 화성시와 전국의 우수 무장애 여행지 사례를 참가자들과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진다. 참가를 원할 경우 오는 11월 27일까지 화성장애인누릴인권센터로 사전 예약하고 소정의 참가비를 납부하면 된다. 문의는 화성 시티투어 운영 단체인 화성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031-366-0766)로 하면 된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이번 행사에서는 기존 ‘모두여행’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북토크 콘서트도 마련해, 장애인, 어르신 등 관광 취약계층 시민들이 우리 시의 무장애 관광지에
화성시(시장 정명근)가 11월 25일 동탄호수공원에서 ‘상상이 현실이 되는 백만화성축제, 100만 화성 미래비전 선포식’을 개최한다. 화성시는 2001년 화성군에서 시 승격 당시 인구 21만에 불과했으나 택지개발 등 급격한 성장을 거쳐 올해 말 인구 100만 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특히, 2024년도 말까지 인구 100만 명을 유지할 경우 2025년 1월 전국에서 5번째로 특례시 자격을 얻게 된다. 시는 이날 행사에서 100만 대도시로의 도약을 앞둔 화성시의 역사적인 발자취를 함께 되돌아보며 새로운 100년을 향한 미래비전을 선포할 예정이다. 화성시의 새로운 시작이 시민과 함께 소통하는 축제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다채로운 연계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오후 4시부터는 가수 이찬원과 이은미의 식전공연이 펼쳐지며 오후 5시부터는 비전 선포식이 진행된다. 이어, 드론쇼, 가수 라포엠·에일리·윤도현밴드의 축하공연, 루나 분수쇼도 마련돼있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누구나 살고 싶은 최고의 도시, 화성시를 만들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번 축제가 100만 시민과 화합하고 함께 즐기는 축제의 장이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1만여 명 이상의 시민이 축제에
미담플러스 박상희 기자 |
미담플러스 박상희 기자 |